생활 정보 🍳

Chat gpt 란? | 챗 gpt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 사용 방법

연우아빠정보통 2023. 4. 13. 09:49
반응형

Chat gpt 란? | 챗 gpt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그램 사용방법 내용을 빠르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챗 gpt 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대화형 프로그램입니다.

 

챗지피티란

 

전 세계에서 챗 gpt 붐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 내용에 대해 다룬 TV 프로그램들이 몇 개 보였습니다.

당연히 유튜브에서는 난리죠.

과연 대체 뭐 하는 녀석이길래 이렇게까지 전 세계적으로 열광할까요?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챗 gpt [ Chat gpt ]

챗 gpt 란,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에이아이(OpenAi)'에 투자를 했고 만들어낸 결과물입니다.

채팅할 수 있는 대화형 화면에 사람이 입력하면 Ai가 대답하는 프로그램이죠.

 

2018년에 GPT-1 버전이 처음 세상에 나왔었고, 2019년에는  GPT-2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2020년에는 GPT0-3, 그리고 올해 3월 14일에 GPT4가 출시되었습니다.

 

 

챗 gpt 유래

지금까지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1950년대부터 시작했었습니다.

 

1980년도에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방식은 학습시키는 방식이었습니다.

100개의 고양이 사진과 100개의 강아지 사진 데이터를 입력하고 실제로 고양이나 강아지를 선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처럼 수 많은 데이터를 입력하여 학습시키는 방식이었습니다.
학습이 쉽지 않아서 포기를 하기도 했었다고 합니다.

 

챗지피티-유래

 

80~90년대에는 촘스키 교수니, 스티븐 핑커 인간의 언어는 문법이 너무 복잡해서 학습만으로는 불가능하다라는 제안을 했지만, 90년도에 인터넷이 들어오면서 데이터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늘어났습니다.

 

2010년도에는 고양이 사진 100개가 아닌 10만장, 100만장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데이터가 늘어났던 것이죠.

놀랍게도 데이터 용량을 늘렸더니 갑자기 기계가 세상을 인식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이제 기계는 자동차와 자전거, 보행자 등을 구별하니까 자율주행 자동차가 출시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을 만드는 방법에는 여러 디테일이 있겠지만 2010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했었던 기계학습 특징이 있습니다.

 

챗지피티-만들기까지

 

첫 번째 세상을 식별하고 알아보는 방법이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닌 기존에 있는 것들을 알아보는 것이죠.

 

두 번째 알고리즘의 병렬처리

수십만장 수백만장의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데이터량이 필요할 텐데 이것을 병렬처리 말고는 현실적으로 학습이 불가능합니다.

이 덕분에 엔비디아 GPU 병령 프로세서들이 급격하게 니즈가 늘어나고 엔비디아는 회사가 엄청 컸죠.

 

챗지피티

 

최근에는 세상을 알아보는 기능은 사용 가능한 영역에 다 사용이 되었다고 합니다.

덕분에 작년부터 엔비디아 주가가 다시 떨어지기 시작했지만요.

 

그런데 흥미로운 사건이 하나 있었는데, 구글의 브레인에 바스 바니라는 인도 출신 과학자가 'transformer(트랜스포머)'라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합니다.

 

챗지피티-사용

 

트랜스포머 알고리즘의 핵심은 더 이상 수십만 수백만 단위의 데이터가 아니고 수천억 또는 조단위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사용한 곳은 바로 언어처리 영역입니다.

 

하지만 위에 말했다시피 언어처리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문법이죠.

사진이나 영상은 1개로도 알아볼 수 있는데, 언어는 문장을 이루고 문장에는 여러 단어들이 순서에 맞춰 들어가있죠.

 

첫 번째 단어, 두 번째, 세번 째 등의 단어가 나열되어 문장을 이루고 문장을 이뤄야지 듣는 사람은 이해가 됩니다.

인공지능 입장에서는 문장이 길어지면 길어질 수록 더 어려워지겠죠.

 

챗지피티-무료

 

그런데 이 바스 바니 과학자는 트랜스포머 기술을 언어 영역에 사용하며 문장의 순서를 배제시킵니다.

순서를 다 빼고 수천억 단위의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고 인터넷에 있는 모든 문장을 학습하는 겁니다.

 

여기서 학습이란, 인터넷에 있는 모든 글의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의 확률 관계를 미리 학습하는 것입니다.

 

확률

 

예를 들어서 '찌개는 짜지만 맛있어' 라는 세 단어를 보면 확률적인 관계가 있습니다.

어떤 단어를 들었을 때 사실 그 단어 뒤에 올 단어가 예측이 가능합니다.

무슨 말이냐면 '우리팀은 야근을 해야해서 이따 ○○을 먹을거다' 라는 문장이 있다면 저 동그라미 속에 들어갈 말은 당연히 저녁이 되겠죠.

 

이런식으로 단어와 단어 사이에는 확률적인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확률적인 단어만 늘어놓았을 때 사람이 보면 자연스럽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제 인공지는gpt는 강화학습을 하기 시작힙니다.

 

GPT에게 수많은 문장을 만들게 하고 사람한테 판단하라는 방식이죠.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같은 사람들에게 문장을 주고 좋은지 나쁜지 판단을 했다라고 합니다.

 

이렇게 강화학습이 끝난 GPT를 우리는 만나게 된 것입니다.

 

챗 GPT 사용방법

구글에 챗GPT를 검색합니다.

구글 챗gpt 캡처

검색하면 제일 먼저 나오는 'OpenAI'의 Introducing ChatGPT를 클릭합니다.

 

챗 GPT 바로가기

 

챗gpt-사용법

챗 gpt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Try ChatGPT' 메뉴를 클릭합니다.

 

챗지피티-사용법

회원가입을 안했다면 빨간색 박스 표시가 된 'Sign up' 메뉴를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해줍니다.

메일을 통한 회원가입이라 메일 인증만 하면 되는 간단한 가입입니다.

 

챗지피티-사용하기

회원가입 완료 후 로그인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 빨간박스에 검색할 내용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gpt가 답변을 해줍니다.

 

제가 한 번 물어봤어요.

'당뇨를 예방하는 방법 알려줘'

 

무려 7가지 방법이나 알려주네요.

 

챗 GPT 바로가기 ▶

 

이제 구글이나 네이버 등 검색의 시대는 곧 끝날 거라고 예상하는데, 과연 미래가 어떻게 흘러갈지 무척 궁금해집니다.

 

▼ 더 많은 꿀팁 정보

 

 

양치 대신 '가글'만 해도 괜찮을까? | 궁금증

 

양치 대신 '가글'만 해도 괜찮을까? | 궁금증

양치 대신 '가글'만 해도 괜찮을까? | 궁금증 평소 스스로에게 던지던 질문 중 하나입니다. 가글은 입 속의 나쁜 성분을 제거해주고 목에 상쾌한 느낌이 들도록 해줍니다. 저도 입 안에 상쾌한 느

moneysolo.tistory.com

 

음식물처리기 지원금 보조금 신청 방법

 

음식물처리기 지원금 보조금 신청 방법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지원금 보조금 신청 방법 및 렌탈 제품 등 내용에 대해 총정리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서울, 경기도, 인천, 충북, 청주, 강원도, 김해, 전남, 경남 등 각 지자체에서 음식물

moneysol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