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및 가상화폐 정보 🌡

시가, 상한가, 하한가, 고가, 저가, 종가 주식용어정리 [주식초보5]

연우아빠정보통 2022. 4. 18. 15:40
반응형

시가, 고가, 저가 등 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접하는 주식단어입니다.

언뜻봐도 무슨 뜻인지 대충 이해는 하겠지만 정확히 어떤것을 뜻하는지 제대로 답변하지는 못할거에요.

저도 주식 초보때는 무슨뜻인지 정확히 몰랐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이 단어들의 뜻을 간단하게 정리하려고합니다.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란? 주식단어 뜻

▶시가

시가는 시작가격의 줄임말이에요.

장이 시작할 때 정해진 시작가격입니다.

 

고가

고가는 거래중에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하면서 사고 팔릴텐데, 최고로 높은 가격에 거래된 가격을 고가라고 합니다.

고가는 전일 종가에서 최대 30%까지만 오를 수 있습니다. 그 이상 가격이 오르지 못합니다.

 

저가

저가는 고가의 반댓말로 생각하시면돼요.

장중에 가장 낮은 가격으로 거래된 가격을 저가라고 합니다.

 

종가

종가는 시가의 반댓말로 생각하시면돼요.

3시30분에 장이 마감하는데 이때 마감가 가격을 종가라고 합니다.

 

그리고 상한가, 하한가 라는 단어도 많이 들어보셨을거에요.

 

상한가

상한가는 전일 종가(마감가)에서 30% 오른 가격을 뜻합니다.

 

하한가

하한가는 상한가의 반대로 전일 종가(마감가)에서 30% 하락한 가격을 뜻합니다.

 

예를들어 전일 종가 가격이 1천원이었으면 오늘 거래 가격은 최소 700원에서 최대 1천3백원 사이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는것이죠.

 

 

 

시가(시작가) 만들어지는 이유

주식을 이제 시작하게되면 전일 종가와 오늘 시작가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어? 전일 종가가 만원이었으면 오늘 시작가도 만원이어야 되는거 아니야?' 하실수 있을텐데요.

 

예를들어 설명드리자면, 장 마감시간은 오후 3시 30분이고 다음날 장 시작시간은 오전9시 입니다.

장 마감과 시작 시간 사이에 회사에서 좋든 나쁘든 어떤 결과가 있었을 때 소식이 뉴스로 통해 알려지게 되겠죠.

만약 코로나 신약을 국내 A기업에서 만들고 있었는데 종가 가격이 1만원이었다고 가정하고, 다음날 장 시작전에 신약 개발이 완성이 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게 된다면?

아마 A기업의 주식을 너도나도 매수하려고 할겁니다.

 

그래서 오전8시30분부터 9시까지 투자자들에게 매수와 매도 주문을 받아 놓은 것이 시가가 되는것입니다.

 

오늘은 시가, 종가, 상한가, 하한가 주식 단어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면서 시가가 만들어지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주식은 팔려고 하는게 아니라 사려고 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직 거래 초보일때는 주식 단어보다는 기업을 찾는 눈썰미를 키워야한다고 합니다.

주식초보 탈출을 위해 화이팅 해봐요!

반응형